본문 바로가기
Safety/소방안전관리

[건설현장 화재안전기준 강화] '23년 7월부터 건설현장에 방화포 설치 의무화

by CMKOO 2023. 7. 4.
반응형

첨부1. 건설현장 화재안전기준 강화 (7월부터 건설현장에 방화포 설치 의무화).pdf
0.36MB
첨부2. 건설현장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606).pdf
0.73MB

 '20년 4월 경기도 물류센터 신축공사장 화재를 계리로 화재안전기준 개선 추진에 따라 공간 및 작업 특성을 반영 "「건설현장의 화재안전성능기준 전부 개정안」이 '23년 7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 

 

 

 

"「건설현장의 화재안전성능기준 전부 개정안」" 의 주요 내용은 기존 건설현장에 설치해야 했던 임시소방시설(소화기구, 간이소화장치, 간이피난유도선, 비상경보장치) 외에 3종 (방화포, 가스누설경보기 및 비상조명등)의 임시소방시설을 추가하였고, 건설현장 소방안전관리자의 세부 업무를 신설하였습니다.

 

1. 3종 (방화포, 가스누설경보기 및 비상조명등)의 임시소방시설 설치

  • 건설현장에서 용접 불티가 대형 화재로 이어지지 않도록 인근 가연물에 방화포 설치
  • 작업 중 발생하는 가연성가스를 탐지하기 위해, 가스누설경보기 설치 
  • 피난 안전성 향상을 위해 지하층이나 무창층*에는 비상조명등 설치 *무창층이란, 건물의 지상층 중 피난상이나 소화활동상 유효한 개구부 면적의 합계가 그 층의 바닥면적에 대하여 30분의 1이하인 층을 말한다.

 

2. 건설현장 소방안전관리자의 세부 업무 신설

  • 방수·도장·우레탄폼 성형 등 가연성가스 발생 작업과 용접·용단 및 불꽃이 발생하는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도록 수시로 확인해야 한다.
  • 가연성가스가 발생되는 작업을 할 경우에는 사전에 가스누설경보기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작업 중 또는 작업 후 가연성가스가 체류되지 않도록 충분한 환기조치를 실시해야 한다.
  • 용접·용단 작업을 할 경우에는 성능 인증을 받은 방화포가 설치기준에 따라 적정하게 도포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 위험물 등이 있는 장소에서 화기 등을 취급하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확인해야 한다.

 

3. 화재안전성능기준 전부 개정 전후 비교표 

구분 현행 변경
① 소화기 -각 층마다 소화기 2개
-화재위험작업시 소화기 2개+대형 1개
-각 층 계단실 출입구 소화기 2개
-화재위험작업시 소화기 2개+대형 1개
-설치 위치에 축광식 표지 부착
② 간이소화장치 -화재위험작업시 25m이내 설치
-방수 압력 방수량 0.1MPa,
 방수량 65L/min,
수원 20분 용량
-화재위험작업시 25m이내 설치
-방수 압력 방수량 0.1MPa, 방수량 65L/min,
 수원 20분 용량, 성능인증제품
③ 비상경보장치 -화재위험작업 지점 5m 이내 설치
-비상벨 음량 1m 위치 90dB 이상
-휴대용 확성기로 설치 가능
-각 층 계단실 출입구 설치
-비상벨 음량 1m 위치 100dB 이상
-휴대용 확성기 설치 불가
④ 간이피난유도선 -공사장의 출입구까지 설치
-상시 점등
-각 층 출입구로부터 10m 이상 설치
-상시 점등(녹색계열 광원)
⑤ 가스누설경보기 (신설) -가연성가스 발생 작업을 하는 경우 바닥으로
 부터
 30m 이하 높이에 설치
⑥ 방화포 (신설) -용접·용단작업 시 11m 이내의 가연물을
 방화포로
 도포 
⑦ 비상조명등 (신설) -피난층으로 연결된 계단실 내부에 비상경보
 장치와
연동하여 설치
⑧ 소방안전관리자 
    세부 업무
(신설) -가연성가스 발생 작업과 용접·용단 및 불꽃이
 발생하는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도록
 수시 확인

-가연성가스 발생 작업시 환기조치 및 가스누설
 경보기,
방화포 등 임시소방시설설치·유지·관리
 확인
① 소화기 ② 간이소화장치 ③ 비상경보장치 ④ 간이피난유도선
⑤ 가스누설경보기 ⑥ 방화포 ⑦ 비상조명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