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afety/Safety talk

가스 배관 내부 클리닝 방법, 피깅 (Pigging), 피그 클리닝 (Pig Cleaning), 배관 주요사고 대비 비상 계획 (Kosha Guide)

by CMKOO 2025. 4. 11.
반응형

 

 배관 내부를 청소하는 작업 중 하나인 피깅 (Pigging)이란, 우레탄 등으로 제조된 피그(Pig)를 배관 내부로 관통, 통과시켜 배관 내벽에 붙어 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것을 말합니다. 

 

□ 피깅(Pigging) 장비는 크게 Launcher, 압축기와 펌프, Pig, Receiver로 구성됩니다. 

  • Launcher : 피그(Pig)를 토출시키는 장치로, 배관 시점에 설치한다.
  • 압축기/ 펌프 : 피그(Pig)가 배관 내부로 관통, 통과될 수 있도록 피그(Pig)에 기압 또는 수압을 공급해주는 설비 
  • 피그(Pig) : 배관 내부로 관통, 통과시켜 배관 내벽에 붙어 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해주는 제품으로 우레탄 등으로 제조되며, 용도에 따라 폼, 브러쉬, 스폰지 등으로 나뉜다.
  • Receiver : 피그(Pig)가 기압 또는 수압으로 인해 배관 외부로 나올 때 튀거나 비산되지 않도록 비닐 또는 그물망 등을 설치하여 받아주는 설비로 배관 종점에 설치한다. 

 

 

□ 피깅(Pigging) 절차 

  1. 작업 준비

  • 충분한 작업 공간 확보, 작업 도구 준비 (필요시 방폭 기계기구 사용), 피깅(Pigging) 하려는 배관의 전단과 후단 밸브의 에너지 차단, 내부 물질 제거(Purge, Drain 등), 압축기 및 펌프 설치 등 

 

 

2. 배관 해체 

  • 피깅(Pigging) 하려는 배관의 전단과 후단의 볼트 등을 해체 (필요시 이동식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피깅(Pigging) 작업 구간으로 이동) 
  • 해체된 배관 전단, 후단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Blind 설치 

 

  3. 피깅(Pigging) 설비 설치

  • 배관 시점에 Launcher, 배관 종점에 Receiver 설치, 피그(Pig) 준비  

 

  4. 피깅(Pigging) 실시

  • 배관 내부에 피그(Pig)를 넣은 뒤, Launcher 결합, 기압 또는 수압을 공급하여 피깅(Pigging) 작업 진행 (필요시 3회, 5회 등 반복 진행) 

 

5. 작업 결과 확인 및 종료 

  • 피그(Pig)에 뭍어 있는 이물질 확인
  • 피깅(Pigging) 작업이 끝난 배관의 전단/ 후단 플랜지와 볼트/ 너트 등의 이물질을 제거 (Brush, Air Blowing 등, 필요시 교체 진행) 하고, 배관, 밸브 등 재 설치 

 

Kosha Guide M-157-2012 배관 주요사고 대비 비상계획에 관한 기술지침

M-157-2012 배관 주요사고 대비 비상계획에 관한 기술지침.pdf
0.13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