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안전기술사 도전기/8. 기타 (최근 이슈 등)

고압가스용 실린더 캐비닛의 구조 및 성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스기술사 129회 2교시 기준

by CMKOO 2023. 7. 20.
반응형

 

KGS AA913(고압가스용 실린더 캐비닛 제조의 시설·기술·검사 기준).pdf
0.63MB
KGS FU211(특정고압가스 사용의 시설·기술·검사 기준).pdf
1.45MB
KGS FU212(특수고압가스 사용의 시설·기술·검사 기준).pdf
1.72MB
KOSHA GUIDE P-149-2016(저장캐비닛의 가스 실린더 보관에 관한 기술지침).pdf
0.15MB

 

1. 서론

 1.1 용어 및 관련 법령 설명

  •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제3조, 제5호, 같은 법 시행규칙 제2조, 제5항, 제7호에 따라 "고압가스용 실린더 캐비닛"은 특정설비에 해당한다.
  • KGS AA913(고압가스용 실린더 캐비닛 제조의 시설·기술·검사 기준) 1.4.1에서 "실린더 캐비닛"은 용기를 장착하여 고압가스 등을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관과 안전장치 등이 일체로 구성된 설비로 규정하고 있다. 
  • 특정설비를 제조하려는 자는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등록(고압가스「안전관리법」 제5조 제1항)하여야 하고, 제조시설의 설치 또는 변경 공사를 완공한 때에는 완성검사를 받고 합격한 후에 이를 사용하여야 한다.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제16조 제3항)
  • 특정설비를 제조·수리 또는 수입한 자(외국용기 등 제조자를 포함한다)는 그 특정설비를 판매하거나 사용하기 전에 검사를 받아야 한다.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제17조 제1항)
고압가스 실린더 캐비넷 (출처 : 세화하이테크 홈페이지)

 

 1.2 실린더 캐비닛 용도 및 장점 

  • 실린더 캐비닛은 반도체 제조공장 내에서 반도체 식각, 도핑 등 공장 운영에 필요한 특정고압가스, 특수고압가스 용기와 실험실 내의 고압가스 용기를 편리하게 보관 및 사용하기 위해 설치하고 있다.
  • 실린더 캐비닛은 각종 사고예방과 피해저감 설비와 제어시스템이 함께 설비되어 설비를 편리하게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다음과 같이 설치 기준 중 일부에 대해 완화된 기준을 적용시킬 수 있다. 
  • KGS FU211(특정고압가스 사용의 시설·기술·검사 기준) 및 KGS FU212(특수고압가스 사용의 시설·기술·검사 기준) 2.3.1에서 가연성가스의 충전용기 보관실의 지붕은 가벼운 불연 또는 난연재료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실린더 캐비닛을 설치하는 경우 보관실 지붕을 가벼운 재료로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 예: 공장의 (복층)증설이 일어나는 경우 종전의 지붕이 상층의 바닥이 되고, 이는 가벼운 지붕으로 보기 어려워 용기 보관이 곤란한 문제를 실린터 캐비닛 설치로 해소 가능)
  • KGS FU212(특수고압가스 사용의 시설·기술·검사 기준) 2.1.1.2에 따라 저장설비의 주의 5m 이내에는 화기(해당 설비 내의 것은 제외) 사용을 금지, 인화성 또는 발화성 물질을 두지않아야 하나, 용기의 실린더 캐비닛 및 그 내부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그 거리를 유지하지 않을 수 있다.

2. 본론

 2.1 구조 [KGS AA913(고압가스용 실린더 캐비닛 제조의 시설·기술·검사 기준) 3.3 참조]

  • 실린더 캐비닛은 그 내부의 누출된 가스를 항상 제독 설비 등으로 이송할 수 있고, 내부 압력이 외부 압력보다 항상 낮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 실린더 캐비닛 안의 설비 중 고압가스가 통하는 부분은 안전율이 4 이상으로 설계된 것으로 한다.
  • 실린더 캐비닛은 그 내부의 배관 접속부 및 기기류를 용이하게 점검·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 실린더 캐비닛 내부의 충전 용기 또는 배관에는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한 긴급차단장치가 설치된 것으로 한다.
  • 실린더 캐비닛은 그 내부 충전 용기의 전도 등으로 충격 및 밸브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체인 등의 설치가 가능한 구조로 한다.
  • 실린더 캐비닛은 그 내부의 배관에 가스의 종류와 유체의 흐름방향이 표시된 것으로 한다. 
  • 실린더 캐비닛은 그 내부의 밸부에 개폐 방향과 개폐 상태가 표시된 것으로 한다.
  • 실린더 캐비닛에 사용하는 가스는 상호 방은에 의하여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없는 것으로 한다.
  • 가연성가스 용기를 넣는 실린더 캐비닛은 당해 실린더 캐비닛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조치가 된 것으로 한다. 

 

 2.2 성능 [KGS AA913(고압가스용 실린더 캐비닛 제조의 시설·기술·검사 기준) 3.8 참조]

실린더 캐비닛은 그 실린더 캐비닛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음 기준에 따른 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 내압성능 : 배관계에 대하여 질소나 공기 등 기체로 상용압력의 1.1배 이상의 압력으로 내압시험을 실시하여 이상 팽창과 균열 등이 없는 것으로 한다. 
  • 기밀성능 : 배관계에 대하여 배관 내부를 1Pa 이하의 진공을 유지하고, 배관 외부에서 헬륨을 분사하고, 헬륨감지기를 이용하여 배관계 내부에서 검출되는 헬륨의 양이 1.013x10-4 PamL/sec 이하가 되는 것으로 한다.
  • 용접성능 : 같은 날 동일 조건으로 용접한 동일 형식의 튜브를 각각 1개씩 채취하여 당해 튜브 용접부 단면에 대해 배율 10배 이상의 확대경을 사용한 마크로시험(Macro Test)를 실시하여 3.6.4의 결함*이 없는 것으로 한다. (*결함 : 용접부의 용입 불량이나, 언더컷, 오버랩, 균열 등 사용상 지장을 주는 결함을 말한다.) 

 

 2.3 표시 [KGS AA913(고압가스용 실린더 캐비닛 제조의 시설·기술·검사 기준) 참조]

실린더 캐비닛 제조자 또는 수입자는 그 실린더 캐비닛의 몸통 부분 등의 보기 쉬운 곳에 다음 사항을 각인하거나 금속 박판에 각인하여 부착하여야 한다.  

  • 제조자의 명칭 또는 약호
  • 사용하는 가스의 명칭
  • 제조번호 및 제조 연월
  • 최고사용압력 (기호 : DP, 단위 : MPa)
  • 내압시험에 합격한 연월 

3. 결론

본론의 기준에 따라 제조된 실린더 캐비닛은 KGS FU211(특정고압가스 사용의 시설·기술·검사 기준) 2.4.4.2의 시설 기준을 준수하여 설치하여야 하며, 관련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실린더 캐비닛 내의 공기를 항상 옥외로 배출하고,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 항상 낮도록 유지하고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조치를 강구한다.
  • 실린더 캐비닛에 사용한 재료는 불연성인 것으로 한다.
  • 실린더 캐비닛 내의 설비 중 고압가스가 통하는 부분은 상용압력의 1.5배 이상의 압력으로 행하는 내압시험 및 상용압력 이상의 압력으로 행하는 기밀시험에 합격한 것으로 한다. [※단, 같은 코드 2.4.5.1 (1)에서 법 제17조에 따라 검사에 합격한 특정설비는 내압시험을 실시하지 않을 수 있다고 규정함) 
  • 실린더 캐비닛은 내부를 볼 수 있는 창이 부착된 것으로 한다.
  • 실린더 캐비닛 내부의 압력계, 유량계 등의 기구류와 배관의 내면에 사용하는 재료는 가스의 종류·성상·온도 및 압력 등에 적절한 것으로 한다.
  • 실린더 캐비닛 내의 배관 접속부 및 기기류는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 실린더 캐비닛 내의 충전용기 또는 이들에 설치된 배관에는 캐비닛의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한 긴급시 차단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한다.
  • 실린더 캐비닛 내의 설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 2.4.4.2(1)에 따라 설치된 배출을 위한 장치와 그 밖의 안전 확보에 필요한 설비의 경우에는 정전 등에 의해 해당 설비의 기능이 상실되지 않도록 비상전력을 보유하는 등의 조치를 강구한다.
  • 실린더 캐비닛 내부의 충전용기 등에는 전도 등에 따른 충격 및 밸브의 손상 방지를 위한 조치를 강구한다. 
  • 실린더 캐비닛실린더 캐비닛 내에는 가스 누출을 검지하여 경보하기 위한 설비를 설치한다.
  • 실린더 캐비닛 내의 배관에는 가스의 종류 및 유체의 흐름 방향을 표시한다.
  • 실린더 캐비닛 내의 밸브에는 개폐 방향과 개폐 상황을 표시한다.
  • 상호 반응에 의해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가스는 동일 실린더 캐비닛 내에 함께 넣지 않는다. [※반도체 관련 공정에서는 반응성 검토시 KOSHA GUIDE P-149-2016(저장 캐비닛의 가스 실린더 보관에 관한 기술지침)의 표2(화학물질 종류에 따른 분류), 표3(화학물질의 혼화성 차트) 등을 참조할 수 있음]
  • 가연성 가스 용기를 넣는 실린더 캐비닛에는 해당 실린더 캐비닛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조치를 한다. 

 

KOSHA GUIDE P-149-2016(저장 캐비닛의 가스 실린더 보관에 관한 기술지침)

표2. 화학물질 종류에 따른 분류

표3. 화학물질의 혼화성 차트 (Compatibility Chart)

 

반응형